본문 바로가기
생각의 발견 (THINK)/정보 (KNOWLEDGE)

챗 GPT는 또 뭔가요? (사용법 및 꿀팁 알아가세요!)

by nuthink 2023. 4. 18.
728x90
반응형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챗 GPT (Chat GPT), 이미 소셜미디어를 장악했고, 뉴스에서도 해당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들려옵니다. 근데 들을 때마다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제껏 AI 대화 서비스는 많았는데, 뭐가 더 다르다는 건지, 너무 많은 정보가 돌아다니다 보니 더 헷갈리시죠? 게다가 AI가 또 인간의 능력을 넘어, 우리의 자리를 빼앗고, 우리가 설 자리가 없다는 자극적인 글들을 접하다 보니 두려움만 커지고, 실질적으로 뭘 도움받을 수 있을지... 그래서 직접 정리해 보게 되었습니다!

챗 Gpt 사용법, 가입방법 해석

챗 GPT는 뭔가요?

Chat GPT 는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의 줄임말이고, 대화형 인공지능 (AI) 서비스입니다.

✔️질문을 하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사람처럼 해주는 것이 특징

✔️광범위한 다양한 분야의 업무(논문작성, 코딩, 작곡 등)까지 수행가능

 

오픈 AI가 2022년 12월에 만든 챗 GPT.

챗 GPT는 아직 공식 서비스가 아닌, 베타 버전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무료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현재 해당 서비스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들을 해보는 것이 유행입니다. 그런 과정에서 더더욱 서비스의 입소문이 나고, 유명해졌습니다. 

챗 GPT를 통해 기대되는 것

✔️사람과 디지털의 역할 분업화

과거와 달리 현재는 정보가 너무 많아 정리와 수집이 더더욱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정보를 큐레이션 하고 정리하는 능력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런 배경에서, 지금까지는 정보의 홍수 속 양질의 정보를 분별해 나가고 수집하는 데 우리 인간이 직접 시간을 많이 들여야만 했다면, 앞으로는 그 역할을 챗 GPT가 맡아 인간은 다른 곳에 집중할 시간과 기회를 얻고, 깊이 있는 분석과 창조가 가능해진다고 말합니다. 챗 GPT는 인간이 물리적, 시간적 제약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많은 데이터를 모아 쉽게 설명이 가능하고, 새로운 논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람처럼 대화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풀어나가기 때문에 우리가 어려운 정보들도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챗 Gpt 사용법, 가입방법 해석
챗 Gpt 사용법, 가입방법 해석

챗 GPT의 이슈 (장단점)

챗 GPT가 크게 이슈가 된 만큼 그의 다양한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챗 GPT의 능력]

1. 단순 질문에도 사람처럼 매끄러운 흐름으로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 광범위한 분야의 업무가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3. 끊임없이 업데이트 되고 검열되는 양질의 정보 - 챗 GPT는 스스로의 실수를 인정하며 정보를 수정하기도 하고 인간이 던진 질문에 잘못된 것이 있다면 이의를 제기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적절한 요청에 대해선 거부하는 능력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챗 GPT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

1. 현재 챗 GPT는 2021년 데이터까지만 학습된 상태이기에 2022년 데이터는 반영이 안 된 상태라 최신 정보를 찾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2. 과거 챗봇들이 겪어온 문제와 같이 대화 과정에서 발견되는 인종차별과 혐오 등의 사회적 이슈가 여전히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3. 한국 내에선 아직 데이터가 부족해 부정확한 정보나 잘못된 사실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4. AI가 정보의 진실을 분별하는 힘이 부족해 불법이나 가짜뉴스의 확산으로 벌어지는 위험성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제가 흥미롭게 본 영상을 공유해드릴게요! 

우리 인간이 챗 GPT를 받아들이고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답을 조금은 들을 수 있는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AI는 앞으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그 기술과 함께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 그리고 도움을 받을 것인지 잘 정의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현명한 준비와 방법을 마련하는 것은 우리 인간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놓치지 말아야 할 문제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